CS/네트워크

IP주소의 구조

코구리 2024. 4. 23. 22:22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위해서는 IP 주소가 필요하다. 이것은 각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주소이다.

IP 주소에 대해 알아보자!

 

1. IP주소(IPv4의 구조)

출처 :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IP_%EC%A3%BC%EC%86%8C#:~:text=IP%20%EC%A3%BC%EC%86%8C(%EC%98%81%EC%96%B4%3A%20Internet%20Protocol,%EA%B0%80%20%EC%95%88%EC%A0%84%ED%95%98%EC%A7%80%20%EC%95%8A%EB%8B%A4%EA%B3%A0%20%ED%95%9C%EB%8B%A4. >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IP주소는 위 사진과 같은 IPv4 구조이다.

v4라는 얘기인데 4바이트, 즉 32비트의 주소를 갖는다. 각 자리가 8비트이기 때문에 0부터 255까지의 값을 갖는다.

따라서 0.0.0.0부터 255.255.255.255까지가 된다.

 

또한 IP주소는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로 나뉜다. 예전에는 각 자리를 클래스로 부여하여 범위를 나타내었다. 해당 방식은 클래스풀 방식이라고 하는데 궁금하다면 더 찾아보면 될 것 같다.

이 방식에서 할당할 호스트 주소가 부족해짐에 따라 주소를 유연하게 나눌 수 있는 방식으로 변경하였다.

그 방식은 서브넷 마스크를 이용하는 것이다.

 

2. CIDR과 서브넷 마스크

새로운 IP주소 체계를 만들기 위해 CIDR과 서브넷 마스크라는 기술이 사용된다.

CIDR은 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의 약어로, Classless 즉 더이상 클래스로 계층을 나누지 않겠다는 의미가 된다.

네트워크 주소에 대한 범위만 정하고 자유롭게 사용한다는 의미이다.

 

서브넷 마스크는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로 나누는 경계의 주소라고 보면 된다. 그래서 서브넷 마스크 뒤를 0으로 채우면 해당 네트워크의 첫번째 호스트 주소가 된다. 서브넷 마스크를 표기할 때는 IP 주소 뒤에 /(슬래시) 를 넣어 어디까지가 네트워크 주소인지를 표시한다.

 

출처 : 위키백과 https://en.wikipedia.org/wiki/Classless_Inter-Domain_Routing#IPv4_CIDR_blocks

 

해당 사진을 보면 10.10.1.32/27 이라는 IP주소를 볼 수 있다.

서브넷 마스크는 /27이 된다. 이것은 IP주소 32비트 중 27비트까지가 네트워크 주소라는 뜻이다.

즉, 00001010.00001010.00000001.001 까지가 네트워크 영역이고,이후 00000 ~ 11111 까지가 호스트 영역인 것이다.

따라서  00001010.00001010.00000001.00100000 이 해당 네트워크에서 첫번째로 할당된 IP주소가 된다. 그리고 이 첫번째 주소는 네트워크 그 자체를 의미하는 네트워크 주소가 된다. 따라서 호스트 주소가 모두 0인 IP 주소는 사용할 수 없다.

 

또한 네트워크 주소가 같은 10.10.1.44는 같은 네트워크이고 네트워크 주소가 다른 10.10.1.90는 다른 네트워크에 속해있다고 볼 수 있다.

참고로 이 네트워크 주소를 보고 TCP/IP 통신 과정에서 다른 네트워크면 라우터로 연결해준다.

 

 

이렇게 해서 현재 쓰이고 있는 네트워크는 IPv4를 주로 사용하지만, 이것 또한 주소의 고갈이 발생할 수 있어 IPv6 체계가 등장하는 등 변화도 있다고 한다.

 

Ref

https://yozm.wishket.com/magazine/detail/2108/

 

IP 주소의 역사와 서브넷 마스크의 탄생 | 요즘IT

오늘날, 거의 대다수의 가정집에 설치되어 있는 유무선 공유기를 하나의 LAN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그럼 세상에는 얼마나 많은 네트워크가 존재하는 걸까요? 과연 이 모든 네트워크에 할당할

yozm.wishket.com

https://en.wikipedia.org/wiki/Classless_Inter-Domain_Routing#IPv4_CIDR_blocks

 

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Method for IP address allocation and routing 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CIDR ) is a method for allocating IP addresses for IP routing. The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introduced CIDR in 1993 to replace the pre

en.wikipedia.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