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네트워크 (3) 썸네일형 리스트형 TCP/IP의 4계층 이해하기 TCP/IP는 네트워크 통신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프로토콜 집합이다.HTTP/HTTPS 를 비롯한 많은 프로토콜이 TCP/IP에서 동작한다. 나는 이해가 어려웠기 때문에 나중에 복습을 위해서라도 정리를 해본다! 1. TCP/IP 란? 사람 간의 대화처럼 컴퓨터와 네트워크 간의 통신에도 일정한 규칙이 필요하다. 그리고 그 규칙을 프로토콜이라고 한다. 특히 인터넷과 관련된 모든 프로토콜들의 집합을 TCP/IP 라고 한다. 2. TCP/IP의 4계층 TCP/IP에서의 통신은 4개의 계층으로 구분지을 수 있다. 이렇게 프로토콜을 계층화하면 어디에서 에러가 발생했는지 파악하기 쉽고 설계도 쉬워지기 때문에 효율적이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 계층, 전송 계층, 인터넷 계층,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으로 구성된다. 데이.. TCP의 3way handshake 과정 TCP는 웹 브라우저가 서버와 연결할 때 신뢰성 있게 연결해주는 프로토콜이다. 신뢰성을 위해 흐름제어, 혼잡제어를 수행한다. 이러한 것을 제어하는 정보는 TCP프로토콜의 Header 부분에 포함되어있다. 또한 Header 를 제외한 TCP가 실을 수 있는 데이터 크기를 세그먼트(segment)라고 한다. 통신 전에 송신 측과 수신측이 잘 연결되었는지 서로 확인 후에 통신하게 되는데 3단계를 거치기 때문에 이 과정을 3way handshake라고 한다. 1. 먼저, 송신자가 수신자에게 SYN을 날려 통신이 가능한지 확인한다. 이 때 포트가 열려있어야 한다. 2. 이후 수신자가 송신자로부터 SYN을 받고 SYN/ACK를 보낸다. 여기서 ACK는 응답을 받았다는 의미이다. 3. 이후로 송신자가 수신자로부터 S.. IP주소의 구조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위해서는 IP 주소가 필요하다. 이것은 각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주소이다.IP 주소에 대해 알아보자! 1. IP주소(IPv4의 구조)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IP주소는 위 사진과 같은 IPv4 구조이다.v4라는 얘기인데 4바이트, 즉 32비트의 주소를 갖는다. 각 자리가 8비트이기 때문에 0부터 255까지의 값을 갖는다.따라서 0.0.0.0부터 255.255.255.255까지가 된다. 또한 IP주소는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로 나뉜다. 예전에는 각 자리를 클래스로 부여하여 범위를 나타내었다. 해당 방식은 클래스풀 방식이라고 하는데 궁금하다면 더 찾아보면 될 것 같다.이 방식에서 할당할 호스트 주소가 부족해짐에 따라 주소를 유연하게 나눌 수 있는 방식으로 변경하였다.그 방식은 서브넷 마..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