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 (5) 썸네일형 리스트형 자바스크립트 this 개념 뽀시기 : this는 왜 쓰는 걸까?! 1. this난 자바스크립트를 배우면서 this만 보면 머리가 아픈 사람이었고 대충 문맥에 맞게 해석했었는데 뭔가 찜찜했었다. 이참에 싹 정리해서 편안하게 사용하기로 했다! 1) this의 개념자바스크립트에서 this는 '자기 참조 변수' 이다. 자신이 속한 객체를 참조하거나 자신이 생성할 인스턴스를 가리킨다.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코드가 있을 때 this는 객체 person에 속해있으므로 person을 의미한다. this는 어디서든 사용이 가능하다. 다만 전역에서 사용하면 별 의미가 없을 뿐이다.const person={ data1:10, data2:20, sum(){ console.log(this.data1+this.data2); }this는.. 변수 키워드(var , let, const) 차이에 관하여 1. varvar는 자바스크립트에서 가장 처음에 나온 변수 키워드이다. 스코프를 다루면서 봤듯이 var는 다른 변수키워드와 다른 점이 많은데 그렇기 때문에 치명적인 단점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1.1. 변수 중복 선언 가능var 키워드로 변수를 중복 선언하게 되면 초기화 문(변수선언+할당문)일경우 재할당 되고 선언만 했을 경우 무시된다. 아무런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특징은 의도치 않게 변수 값을 변경할 위험이 있다. var num=10;console.log(num); //10var num=50; //초기화문이기 때문에 var 키워드를 무시하고 재할당하는 것으로 작동된다.console.log(num); //50var num=10;console.log(num); //10var num; //단순.. 스코프 1. 스코프란?스코프(scope)는 식별자의 유효범위라고 할 수 있다. 모든 식별자는 사실 어디서나 참조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호출할 수 있는 범위가 따로 있다. 이렇게만 말하면 감이 잘 안올테니 예시코드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var data=10;function my_Data(){var data=1;console.log(data); //1}my_Data();console.log(data); //10위 코드에서는 함수없이 그냥 선언한 변수 data는 1로 출력되고 함수 안에서 선언한 변수 data는 10으로 출력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함수 내의 변수는 함수 안에서만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함수 밖에서 쓰인 변수는 어디서든지 사용이 가능하다. 함수 안에 같은이름의 변수가 선언되어있지.. 데이터타입- 원시타입과 객체타입의 차이 : 값에 의한 전달? 참조에 의한 전달? 1. 원시타입과 객체타입자바스크립트의 데이터타입은 크게 원시타입과 객체타입으로 나눌 수 있다. 오늘은 원시타입과 객체타입의 차이점을 살펴볼 것이기 때문에 세부적인 데이터 타입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려고 한다. 1.1. 원시타입숫자(Number), 문자열(String), 불리언(Boolean), undefined, 심벌(symbol), null 로 총 여섯개이다. 1.2. 객체타입객체, 함수, 배열 등이다. 사실 객체는 원시타입을 제외한 모든 것들이다. 따라서 굉장히 큰 범위이나, 대표적으로 언급한 세가지가 있다. 2. 원시타입과 객체타입의 차이점가장 큰 차이점은 값의 변경이 가능한지 여부이다. 원시타입은 '변경불가한 값'이다. 객체타입은 '변경가능한 값'이다.또한 값을 할당할 때, 원시타입은 원시값(실제.. Array에 대한 이해와 메소드 실습(filter, map, forEach, sort) 1. Array란?여러 개의 값을 나열한 인덱스로 찾을 수 있는 자료구조이다. 타언어와는 달리 배열타입이 아닌 객체타입으로 되어있다. 원시타입이 아니기 때문에 값 변경 가능하다.2. 메소드 실습1) filterfilter는 말그대로 조건에 맞게 걸러내는 것이다. find 또한 조건문에 따라 찾아내지만 find는 값을 순회하면서 조건문에 맞는 값을 발견하면 바로 하나만 반환하는 대신 filter는 조건문에 맞는 모든 값을 새로운 배열로 만들어서 반환한다.{'name':'yeongju','age':51,'data':3}]예시코드를 보면 filter안에 들어간 조건을 통해서 myarr안의 3보다 큰 값을 걸러내고 있다. 따라서 [4,5] 가 반환된다.myarr=[{'name':'yeeun','age':23,'.. 이전 1 다음